다른 해충 한 마리만 돌아다녀도 온몸에 소름이 돋는데 바퀴벌레가 방안에 돌아다닌다면 상당히 끔찍합니다. 낮 시간에 바퀴벌레 한 마리가 보인다면 엄청난 수의 바퀴벌레가 집안에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일상적인 생활 공간에서 살펴보면 바퀴벌레 습성은 습기가 있고 따뜻한 곳을 좋아하며 싱크대 밑이나 냉장고 밑 장판 속 화장실 주변 등에 서식합니다. 바퀴벌레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는 곳이 우리들의 가정 환경입니다. 다른 해충은 약 1주일도 버티기 힘든데 바퀴벌레는 음식을 먹지 않고 약 2~3개월을 버티지만 물을 먹지 않고는 2~3주 정도 버틴다고 합니다. 그 환경에서 적응하며 함께 살기를 기를 쓰고 들어와 서식하는 바퀴벌레를 잡기 위해서 먹이 약이나 살충제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퇴치를 시도 하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환경입니다.
바퀴벌레 약을 사용하더라도 주변에 먹을 것이 많이 있다면 우리가 놓아둔 바퀴벌레 약을 피해 다니며, 주변에 보이는 음식 찌꺼기나 아이들이 먹다 흘린 과자 부스러기 등을 먹으면서 번식하면서 잘 지내고 있을 겁니다.
바퀴벌레의 습성
바퀴벌레는 질주성, 동족포식성, 향촉성 , 토사성을 들 수 있는데 다른 습성도 있지만 대표적인 바퀴벌레들의 특성을 몇 가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질주성은 뭔가 빨리 움직일 것 같은 느낌이지만 속도는 둘째 치고 이 질주성은 바퀴벌레의 반응성을 나타냅니다. 바퀴벌레의 안테나.. 더듬이는 아주 미약한 바람을 감지해 반응을 합니다. 또한 급경한 반응일 경우에는 신경에서 신호를 뇌를 거치지 않고 곧 바로 다리에 신호를 보내서 엄청난 회피 능력으로 몸을 피하게 됩니다.
동족포식성 자기 동족을 먹는 겁니다. 살아있는 동족을 뜯어 먹는 건 아니고 동족의 시체를 먹는 습성입니다.현실적으로 동족의 시체를 먹는 건 단순한 영양 공급원인데 약간 끔찍합니다.
향촉성은 자기 몸의 1/3의 크기인 구멍 또는 틈 사이도 이동이 가능합니다. 이 의미는 바퀴벌레 자기 머리 세로 높이의 구멍 또는 틈 사이만 되면 몸을 구겨서 이동이 가능하여 아무리 작은 틈이라도 집안에 침입이 가능하다는 소리입니다.
토사성은 토하는 습성입니다. 한 마리의 바퀴벌레가 밖에서 음식물 또는 먹이를 먹고 서식하는 곳으로 와서 토를 하여 동족들이 다시 이 토사물을 먹음으로 영양 공급을 해주는 겁니다.
이 밖에도 죽기 전에 알을 산란하는 습성이 있습니다. 점차 죽어 간다 거나 그에 상응하는 위협이 닥치면 바퀴벌레는 알 주머니를 떨어트리고 떨어진 알 주머니는 적당한 온도와 습도만 있으면 부화 해버리기 때문에 이 또한 바퀴벌레 퇴치의 어려움을 주고 있습니다.
바퀴벌레 퇴치
제일 먼저 해야 하는 것은 바퀴벌레들이 살지 못하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우선입니다. 첫 번째는 싱크대 밑을 깨끗하게 청소를 하고 두 번째는 냉장고 주변을 청소를 합니다. 그리고 세 번째는 각 방과 거실을 청소하며, 거실과 방을 청소 할 때 바닥과 벽 사이 틈새에 있는 과자 부스러기가 없도록 청소합니다.
그리고 바퀴벌레의 토사성을 이용해 주로 사용하는 튜브형 또는 스프레이 살충제, 붕산에 설탕, 계란 노란자, 감자 등을 섞어서 사용을 하는데 이 방법은 솔직히 말해서 1~2주 정도는 바퀴벌레가 퇴치 됩니다. 하지만 2~3주 후에는 다시 바퀴벌레가 보이기 시작합니다.
돈이 많은 분들은 방역 업체를 부르시면 되지만 새로 침입하는 바퀴벌레에겐 한계가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으론 쥐잡이용 끈끈이가 있습니다. 끈끈이를 설치하고 중간에 바퀴벌레가 좋아하는 바나나향이나 딸기향이 나는 과자를 놓고 바퀴벌레가 좋아하는 장소에 넣어두면 됩니다. 끈끈이의 장점은 알 주머니를 베고 먹이를 찾는 어미 바퀴벌레가 이 끈끈이에 붙으면 알 주머니를 떨구는데 이 알주머니도 끈끈이 붙어서 수백마리 새끼 바퀴벌레도 같이 퇴치가 됩니다. 끈끈이 덫을 사용할 경우 설치 장소를 표시해 두면 사람 잡는 불상사는 막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개나 고양이 애완동물을 기르시는 분 또는 아이가 있는 집은 접근하지 못하게 조심하거나 어린이나 애완동물들이 보이지 않는 곳에 설치하는게 좋습니다.
'The Story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가 가진 흥미로운 사실 9가지 (0) | 2017.03.15 |
---|---|
공포증의 종류 (0) | 2017.03.14 |
레고 탄생의 이야기 (0) | 2017.03.13 |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 (0) | 2017.03.13 |
성도착증 종류와 원인 (0) | 2017.03.08 |